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뉴욕 AfterTheW edding, 2019 넷플릭스넷플릭스 영화: 애프터웨딩

  1. 인도에서 어린이재단을 운영하는 이사벨(미셸 윌리엄스)은 거액의 후원금을 지원할 테니 뉴욕에 직접 와 달라는 후원자 테레사(줄리안 무어)의 요청을 받고 뉴욕으로 떠난다.

    내키지는 않지만 아이들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뉴욕행을 결정한 이사벨은 빨리 후원금을 받아 돌아가고 싶다.

    한 살 때부터 모아 아들처럼 키우듯 한제이라는 아이가 기다리고 있어 지금까지 쌓아온 삶의 모든 것이 있는 인도로. 하루빨리 일을 마치고 뉴욕을 떠나고 싶어 안달하는 이사벨과 달리 테레사는 서두르지 않도록 아주 여유로워 보인다.

    테레사는 다음 주말에 결혼식에 이사벨을 초대한다.

    그리고 그 결혼식에서 자신이 지금까지 노력해온 과거와 마주하게 될 이사벨. 왓츠 하픈 애프터 더 웨딩?

이상하게도 나에게는 이사벨이 인도에 있을 때도, 게다가 그곳에서 명상을 하고 있을 때도 편안해 보이지 않았다.

주변 풍경이나 인물들과 잘 섞이지 못하고 혼자 떠다니는 것 같았다고나 할까. 영화 설정상 의도한 건지, 그의 연기 미숙인지는 모르지만 (아마 전자일 거야) 영화 시작부터 끝까지 어쩔 줄 모르는 것 같고, 내가 어디 있는지 잘 모르는 것 같고, (심지어 인도로 돌아가고 싶다고 할 때조차) 당황하거나 불안한 상태를 억지로 억누르는 것 같았다.

그래서 어쩌면 이사벨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알고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아마 테레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영화 속 인물이 항상 진실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죠.

3. 미셸 윌리엄스가 출연한 영화를 제대로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생각했는데 자세히 보면 <베놈>을 보기는 했다.

하지만 베놈에서는 그가 맡은 역할이 워낙 조촐했기 때문에 그의 제대로 된 연기를 봤다고 하기에는 역시 모호하다.

미셸 윌리엄스의 연기를 제대로 보게 된 것은 처음이라고 길게 말했다.

굳게 다문 입과 흔들리는 눈동자만으로도 캐릭터의 심상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연기가 압권이었다고 생각한다.

캐릭터가 아니라 이 배우의 원래 심성이 이런가 싶어서 다 얘기했어요. 미셸 윌리엄스가 주연한 또 다른 영화 우리도 사랑인가를 보고 싶은 영화 목록에 있지만 조만간 이를 가장 먼저 볼지도 모른다.

줄리안 무어는 그냥 신보예요. 아무 정보도 없이 이 영화를 보기로 마음먹으니 줄리안 무어의 영향이 90% 이상 미친 것이다.

얼마 전 헝거게임 시리즈를 처음부터 봤는데 마침 넷플릭스에 애프터웨딩 인 뉴욕의 대표 이미지로 줄리안 무어가 나와 있었다.

그래서 고민하지 말고 클릭 성공한 커리어우먼이자 완벽한 어머니, 완벽한 아내로서의 모습. 그 밑에 숨겨둔, 그저 삶을 건너는 인간으로서의 모습. 그 둘 사이를 어색함 없이 자연스럽게 넘나드는 연기는… 하, 그렇죠. 도대체 누가 그를 대신할 수 있을까요? 영화에서 의미 없이 반복되는 장면은 없다.

그래서 테레사의 의중을 헤아리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으로 드러나는 그의 신경질적인 태도에서 번뇌와 후회, 미련, 절박감이 느껴졌다.

이사벨과 테레사가 오스카(빌리 크루더브)에게 화를 내는 지점이 흥미롭다.

둘 다 사실 오스카가 아니라 오스카에게 비친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난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묘하게 마음에 남아서 자꾸 생각나는 건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다.

이사벨의 생각보다, 그리고 영화를 보는 관객의 생각보다 훨씬 가볍고 산뜻하게 이별을 받아들이는 제이의 천진난만한 말과 표정. 그리고 영화의 시작과는 반대로 타이트 샷에서 부감으로 멀어지는 카메라 앵글. 그래서인지 모든 게 다 의미가 있지만 또 모든 게 의미가 없는, 허무와 비슷한 감정이 영화를 보고 나서도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

5. ‘애프터 웨딩 인 뉴욕’은 수전 비엘 감독의 덴마크 영화 ‘애프터 웨딩 After The Wedding'(2007)의 리메이크작이라고 한다.

한국영화 제목에 왜 굳이 인뉴욕을 붙였는지 의문이었는데, 원작과 헷갈리지 말라는 것이었는지(더 찾아보니 2017년 애프터웨딩 After The Wedding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한 코미디 영화가 이미 있었던 것도 이유인 것 같다). 주목할 점은 <애프터웨딩 인 뉴욕>이 <애프터웨딩>을 리메이크하고 주인공의 성을 바꿨다는 점이다.

그래서 애프터웨딩 인 뉴욕 개봉 당시 크로스젠더 리메이크작으로 화제가 됐던 것. <애프터웨딩>에서는 남성 화자의 시선을 따라 연극이 진행되며, <애프터웨딩 인뉴욕>에서는 여성 화자의 시선을 따라 연극이 진행된다.

리메이크작과 똑같은 스토리라인을 지녔지만 주인공의 성별이 달라지면서 영화의 양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마스 미켈슨이 출연한다.

♥)이 연기를 얼마나 잘 해 놓았는지 궁금해서 원작도 꼭 한번 보고 싶다.

한 줄 평 어쩌면 당신은 이 영화를 그런 영화라고 생각했겠지만